마이데이터 연동하면 스타벅스 기프티콘 증정!🥤
한 번쯤은 이런 알림을 받고 마이데이터 연동한 경험 있으신가요?
실제로 많은 금융 플랫폼에서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고객들의 마이데이터 연동을 유도하고 있는데요.
어떤 이유에서 그들에게 마이데이터가 중요한 자산이 되었는지 함께 살펴보아요. |
|
|
마이데이터는 은행, 카드사, 보험사, 금융투자사 등에 흩어져 있는 내 정보를 한 곳에 모아 관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. 22년 1월 금융권을 시작으로 출범한 마이데이터 사업은 어느덧 8,000만 명이 넘는 이용자(중복 포함)와 2,500억 건이 넘는 사용 건수를 기록하고 있어요.
은행을 넘어 증권, 보험, 카드 등 다수 금융회사가 이 사업을 운용하고 있으며 현재 66개 사가 금융위로부터 마이데이터 사업 본 허가를 받았고, 그중 61개 기업이 서비스를 운영 중입니다. 대표적으로 신한은행의 머니버스, 현대카드, 네이버페이, 토스, 여러 핀테크 업체(뱅크샐러드, 핀다, 핀크 등) 등에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요. |
|
|
그렇다면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금융소비자와 금융사업자에게 주는 장점은 무엇일까요?
금융소비자 입장에서는 은행, 카드사, 금융투자사 등에 개별 방문하지 않아도 모든 금융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어 본인의 자산 상태를 쉽게 점검할 수 있어요. 또한, 신용 자산 상태에 대한 리포트를 통해 나의 신용, 자산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요.
금융사업자 입장에서는 제공받은 금융 정보를 토대로 금융소비자에게 맞춤형 금융 상품 및 자산 관리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많아지게 돼요. 또한, 기존에는 금융소비자의 데이터를 가장 많이 확보한 은행이 금융 서비스를 이끌어갔다면 이제는 다양한 금융 플랫폼 또한 마이데이터 사업에 뛰어들게 되면서 새로운 사업 모델 발굴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요. |
|
|
현재 마이데이터는 금융, 공공 등의 한정된 분야에서만 활용되고 있어요. 가령, 본인 계좌 정보 통합 조회 서비스나 금융 상품 추천 및 재무 컨설팅과 같은 서비스죠. 정부는 이처럼 금융, 공공 등에 한정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오는 2025년 상반기 중 전 분야에 도입, 2027년까지 데이터 시장 규모를 58조 원 이상으로 키우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는데요. 본격적으로 보건∙의료, 복지, 통신, 에너지, 고용노동, 부동산, 교육, 유통, 여가 등 다양한 분야 개인 정보와 결합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죠. 보건∙의료 영역으로 예를 들자면, 지금은 CT, MRI 등 의료 데이터를 받으려면 환자가 병원에 방문해 CD에 담아와야 했지만, 마이데이터 제도가 시행되면 환자가 자신의 의료 데이터를 다른 병원으로 바로 전송하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. 내 데이터의 주인은 내가 되는 것이죠.
다만 마이데이터가 영역을 넓혀감에 있어서 우려되는 점도 있기 마련인데요. 정보 유출이나 해킹과 같은 보안 사고의 위험과 마이데이터 제공 및 활용 비용 등 기관별로 부과하는 과금 문제 등을 해결하여 서비스 분야가 확대되는 2025년까지 금융 사업자들이 혁신 서비스를 더 많이 만들어 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 |
|
|
|